없는 공방

세상에 없는 것들을 향으로 만드는 곳

728x90

향료 26

#27. 녹차, Green tea

# 스물일곱 오늘 알아볼 향료는 차로 즐겨 마시는 '녹차' 입니다! 예전에 길을 가다 우연히 녹차향이 나던 사람이 지나갔었는데, 차로만 맡던 따뜻한 향이 차갑게 느껴지니 매력적이고 향긋하더라고요. 그게 기억에 남아 집에 가자마자 녹차 에센셜 오일을 주문하고 지금까지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향이에요. ■ 녹차 학명은 'Camellia sinensis' 로 차나무과에 속합니다. 한국에서는 '녹차' 라고 불리며, 영어로는 동일한 의미의 'Green tea' 라고 불립니다. '녹차' 는 뜻 그대로 '차의 색이 녹색이다.' 에서 따왔는데, 실제로 탕색이 녹색이진 않는데요. 아마 '찻잎을 자연에서 가져온 녹색잎 그대로를 사용한다.' 라는 상징적인 의미정도로 해석하면 될 거 같습니다. 원산..

#26. 팔마로사, Palmarosa

# 스물여섯 열대지방에서 자라는데 장미향이 나는 식물이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제가 보통 질문을 하면 답정너라 아마 눈치를 채셨겠지만... 네 있습니다. 실제로 이름 또한 이런 특성에서 따왔는데요. 'Palma(야자)' 의 'Rosa(장미)' 라는 이름을 가진 '팔마로사(Palmarosa)' 입니다. '야자장미' 라 이름이 참 신기하지 않나요? 장미향을 닮아 장미 대신 쓰기도 하지만, 장미향과는 구분되는 독특한 향취가 있어 자신만의 정체성이 있는 향료랍니다. ■ 팔마로사 학명은 'Cymbopogon martinii' 이며 가장 잘 알려진 이름은 '팔마로사(Palmarosa)' 입니다. 그 외에 'Indian geranium' , 'Ginger grass' , 'Rosha' , 'Rosha grass' 등..

#7. 향료의 역할

# 일곱 이전에 향료의 분류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었어요. 천연향료와 인공향료에 대한 글도 쓴 적이 있고, 더 나아가 향수에 대한 분류 글을 쓴 적도 있죠. 그러나 여러분. 같은 향상이더라도 향료들의 각자 역할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있었나요? 오케스트라에서 현악기, 타악기, 관악기 등 각자의 역할이 나누어져 있듯, 향료도 향수 안에서 하는 역할들이 나누어져 있답니다. 오늘은 다소 간단한 내용이니 가볍게 읽어주세요. 2022.04.28 - [공간 셋/향지식] - #1 향료와 그 종류 #1 향료와 그 종류 # 하나 처음으로 알려드릴 향 지식은 바로 향료와 그 종류입니다. 이전 포스팅한 글들에서 '향료' 란 단어를 많이 사용했지만 정작 '향료' 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지 못해 이렇게 글로 쓰게 됐 spac..

#25. 바질, Basil

# 스물다섯 오늘은 파스타 이름으로 더 유명한 허브 '바질(Basil)' 입니다. 이탈리아어로 '찢다, 빻다' 라는 뜻의 'Pestare' 에서 유래된 '페스토' 라는 단어가 있는데요. 이는 절구에 식재료를 빻아서 만든 소스를 뜻하는데, 특히 '바질(Basil)' 은 페스토로 가장 많이 만드는 재료이죠. 잘 달궈진 팬에 삶은 면과 올리브유, 바질 페스토만 넣으면 바로 우리가 아는 바질 파스타가 탄생하게 됩니다. 요리 블로그가 아닌 관계로 자세한 방법은 생략...해도 되겠죠? ■ 바질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 'Basileus(왕)' 에서 따왔으며 왕실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특성 때문이었던 걸로 추정됩니다. 꿀풀목 꿀풀과 바질속으로 학명은 'Ocimum Basilicum' 입니다. 국내에선 바질이 대중화되지 않..

#19. 캐모마일, Chamomile

# 열아홉 캐모마일! 이라고 하면 다들 따뜻한 허브티 한 잔이 생각나실 건데요. '캐모마일' 은 차가 아닌 향료로도 많이 쓰인답니다. 놀랍게도 파란색을 띠는 종도 존재하죠. 향이 매우 복합적이고 독창적인 향을 가지고 있어 제가 사랑하는 향료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조향을 하시는 분들께 팁을 하나 드리자면 독창적인 향을 가지고 있으면 대부분 비싸답니다! (향료는 바겐 세일 안 하나?) ■ 캐모마일 학명은 'Chamaemelum' '국화과' 입니다. 과 안에 '캐모 마일' , '저먼 캐모마일' , '로만 캐모마일' , '다이어스 캐모마일' , '더블플라워 캐모마일' , '론 캐모마일' 등 이 존재합니다. 그 중 향료로 쓰이는 것은 '저먼 캐모마일' , '로만 캐모마일' 두 종입니다. 'Chamomile' 의..

#18. 계피, 시나몬, Cinnamon, Cassia

# 열여덞 향 중에 'Spicy' 라고 표현되는 향들이 여럿 있죠. 여기서 'Spicy' 란 향신료와 같이 매운 향들을 말합니다. 무슨 향인지 예시로 들자면 '계피(Cinnamon)' 향을 예시로 들면 됩니다. 사실 오늘 소개드릴 향료가 '계피(Cinnamon)' 이고 이를 위한 빌드업이었습니다. 계피와 같이 톡 쏘듯이 매운 향신료 향들을 'Spicy' 향료라고 하는데요. 주로 남성 향수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동양적이면서 섹시한 남성미를 표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간혹 매력적이고 똑 부러지는 여성상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결론은 '계피(Cinnamon)' 에 대해 소개드리겠습니다. ■ 계피 '녹나무속(Cinnamomum)' 으로 크게 동양 계피인 'Cinnamomum Cassia' 와 ..

#1. 알데히드류, Aldehyde

# 하나 향기 성분에 관한 글을 어떻게 시작할까 생각하던 중 하나하나 올리다 보면 백만 년이 걸릴 것 같아 큰 덩어리 위주로 소개를 드리겠습니다. 새로 알게 된 인공향료들은 추후에 다른 글들로 찾아뵙겠습니다. 가장 먼저 소개드릴 것은 바로 '알데히드류(Aldehyde)' 인공향료입니다. ■ 알데히드(Aldehyde) '알데히드(Aldehyde)' 란 '말단 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로 단일 공유 결합으로 수소원자에 결합된 탄소 원자와 이중결합을 가진 산소 원자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작용기의 화학식은 -CH=O 일반식은 R-CH=O이다.' 입니다. 주로 부분 산화의 산물로 형성하는 산에 이름을 따서 명칭 합니다. 합성수지의 제조 및 염료, 향료, 향수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일부는 방부제와 소독제로도..

#17 페티그레인, Petitgrain

# 열일곱 잎과 꽃 그리고 열매에서까지 향을 선물하는 나무가 있습니다. 예전에도 한 번 소개드린 적이 있는데요. 바로 아낌없이 주는 오렌지 나무입니다. 열매와 꽃에 대한 글은 작성하였으니 마지막으로 잎에서 추출되는 향료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복습 겸 열매인 '오렌지' 와 꽃인 '네롤리' 에 대한 링크는 남겨두겠습니다. 2022.05.27 - [공간 둘/천연향료] - #13 오렌지, Orange #13 오렌지, Orange # 열셋 오늘은 다소 익숙한 이름인 '오렌지'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귤계(Citrus)' 향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무슨 냄새인지 바로 알아차릴 수 있을 정도로 '감귤계(Citrus)' 의 대표적인 향 중 space-less.tistory.com 2022.06.11 - [공간 둘..

#16 네롤리, Neroli, Orange Blossom

# 열여섯 '오렌지' 에 관한 글을 작성할 때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바로 오렌지 나무에서 피는 꽃 '네롤리(Neroli)' 입니다. '네롤리(Neroli)' 는 오렌지 나무에서 피는 꽃이라고 해서 '오렌지 블라썸(Orange Blossom)' 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조향학의 관점에서는 '네롤리' 와 '오렌지 블라썸(Orange Blossom)' 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힌트는 바로 '네롤리' 는 'Neroli Essential Oil' 라고 부르며, '오렌지 블라썸(Orange Blossom)' 은 'Orange Blossom Absolute' 라고 부른다는 것! 공부를 열심히 하신 분이라면 눈치채셨겠죠? 정답은 본론에서! ■ 네롤리 학명은 'Citrus Aurantium' 으로 운향과 귤 속에 속하는..

#15 자몽, Grapefruit

# 열다섯 오늘도 감귤계 향을 끄적거리러 하나 데리고 왔습니다. 바로 '자몽' 입니다! 새콤달콤하면서 약간 씁쓸한 향이 매력적인 과일이죠. 영어로는 'Grapefruit' 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Grape' 는 바로 '포도' 입니다. 그래서 간혹 영어 이름을 듣고 '감귤계 운향과 과일이 아닌 포도과 과일이 아닌가?' 라고 의문을 품는 분들이 계신데 이는 과실이 포도처럼 주렁주렁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감귤계 과일이 맞습니다! ■ 자몽 학명은 'Citrus sinesis x maxima' 로 운향과 귤 속에 속하는 과일입니다. 바로 이전 글에서 나온 '버가못' 이 '쓴귤' 과 '레몬' 의 교배종이라면 '자몽' 은 '당귤(Citrus sinesis)' 와 '포멜로(Maxima)' 의 교배종입니다. '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