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물아홉
"왕의 부탁을 듣고 박사들은 길을 떠났다. 그 때 동방에서 본 그 별이 그들을 앞서 가다가 마침내 그 아기가 있는 곳 위에 이르러 멈추었다. 이를 보고 그들은 대단히 기뻐하면서 그 집에 들어가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있는 아기를 보고 엎드려 경배하였다. 그 리고 보물 상자를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 을 예물로 드렸다." 마태복음 2장 9~11절 |
향료는 종교와도 큰 관련이 있는데요. 이는 성경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날 동박박사들이 바친 예물 황금, 유향, 물약 3개, 그중에서도 '유향' 과 '몰약' 은 향료에 속하는데요. 성경에 실린 향료인 만큼 향을 맡아보면 향긋하면서 신성한 묘한 느낌을 줍니다. 그 둘 중 첫 번째 '유향'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유향
우리나라에선 유향이라고 주로 불리며, 외에 훈륙향, 유두향, 천택향, 욕향과 같은 이명도 존재합니다. 영어로는 학명인 '보스웰리아(boswellia)' 또는 '프랑킨센스(frankincense)' , '매스틱(mastic)' , '올리바넘(olibanum)' 등으로 불립니다. 이 중에서도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라는 이름으로 제일 잘 알려져 있는데요. 그 뜻은 고전 프랑스 단어인 'fanc' 와 'incensum' 라는 라틴어가 합쳐진 말로 그 뜻은 '풍성한 연기를 피우다.' 입니다.
유향을 채취하는 유향나무의 학명은 'Bowelia sacra', 감람나무과로 원산지는 아라비아반도 남단의 오만과 예맨 그리고 소말리아입니다. 작은 낙엽교목으로 2~8m 높이까지 자라며, 줄기가 1개 이상 있고 나무껍질은 종이 질감이 있어 쉽게 자랄 수 있습니다. 작은 황백색 꽃을 피우며, 5개의 꽃잎 10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잘 버티고 잘 자라며, 석회질 토양에서 최대 1200m의 바위 경사면이나 계곡에서 자랍니다.
유향나무는 약 8~10년이 되면 송진을 생산하기 시작하는데요. 우리가 사용하는 유향을 만들기 위해선 먼저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 작고 얕게 상처를 냅니다. 얕은 상처를 회복하기 위해 나무는 수지를 내는데요. 이 수지가 공기와 접촉하여 응고되면 유백색의 물질이 됩니다. 이게 완전히 응고되고 나면 손으로 수집합니다. 색은 흰색, 황색, 황갈색 등이며 백색의 유향을 가장 상등품으로 칩니다. 특히 줄기에서 나오는 유백색액이 젖과 같아 '유향(乳香)' 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향료로서 유향은 수지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 혹은 용제추출법 후 용제를 제거한 레지노이드 형태로 주로 사용됩니다. 에센셜오일의 경우 고농축되어 향이 강한 편으로 등급이 높은 프랑킨센스 에센셜 오일은 은색을 띕니다. 레지노이드의 경우엔 수지를 갈아 용매에 녹아내는 형식인데 열로 인한 손실은 없으나 향이 강하지 않습니다.
에센셜 오일의 주성분은 'Alpha-pinene' , 'Thujene' , 'Sabinene' , 'Delta-3-carene' , 'Myrcene' , 'Limonene' 이며, 레지노이드의 경우엔 불순물이 많은 편이라 성분표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교회에서 향료로 피우는 경우가 있어, 유서 깊은 성당이나 교회에서도 옅은 유향과 몰약 냄새를 맡을 수 있는데요. 그래서 'Church smell(교회 냄새)' 라는 별칭도 존재합니다.
■ 향
하향(Base Note)으로 분류되며 수지(Balsam)계열의 향조입니다. 교회를 연상케 하는 신성한 향이 나는데요. 자세히 묘사하자면 마른나무 냄새에 향극한 감귤잎 향이 코 끝에 닿으며, 감귤향이 가라앉으면 마른나무 냄새 위로 나무 수지 냄새(흔히 알고 있는 송진과 비슷한)가 은은하게 퍼집니다. 향이 주는 느낌이 신성해서 주로 웅장하고 신적인 느낌을 주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공간 둘 > 천연향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사이프러스, Cypress (0) | 2023.07.13 |
---|---|
#27. 녹차, Green tea (0) | 2023.03.13 |
#26. 팔마로사, Palmarosa (0) | 2023.03.07 |
#25. 바질, Basil (1) | 2022.11.12 |
#24. 로즈메리, 로즈마리, Rosemary (2) | 2022.11.05 |